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

이집트의 위대한 문화유산들 이전 포스팅에서도 얘기했지만 고대 이집트 문명이 발원할 수 있었던 결정적 기폭제인 나일강 유역은 매년 주기적인 범람이 일어나 상류의 진흙과 그 속의 자양분들이 하류로 쓸려 내려왔기에 토질이 비옥했다. 다른 문명에 비해 생산량이 매우 높은 거대한 삼각형 모양의 평야를 형성했고 이 힘을 바탕으로 다른 문명보다 빠르게 문명의 진화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의 사막을 떠올려 보면 알 수 있겠지만 고대 이집트는 사막에 세워졌기에 나무가 매우 귀했다. 따라서 대부분의 건축물들은 말린 진흙 벽돌이나 바위들로 지어졌고 특히 바위를 깎아 만들어진 건축물들은 몇천 년 동안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었다. 대다수의 석재들은 석회암, 화강암 등으로 만들어졌으며 흔히 아부심벨처럼 거대한 암석들을 통짜로 깎고 쌓아 만든 유적들이 유.. 2023. 9. 22.
이집트의 문화, 예술 우선 전제해야 할 부분은 이집트는 지극히 종교적인 사회였으며 문화, 예술 활동이 개인의 창의성에 기반하기보다는 파라오, 귀족, 신관의 지시나 이들을 찬양하는 내용이 대부분이라는 점을 기억하기를 바랍니다. 이집트 문화의 근원은 종교라고 할 수 있는데 성경처럼 경전이나 교리가 있는 종교가 아니었다. 지켜야 할 교리나 도덕 준칙이라기보다는 삶 그 자체였다. 고대 이집트의 신은 유일신이 아니었으며 일반적으로 2가지 종류의 신을 믿었는데 하나는 태초부터 존재했던 신들로 호루스, 아누비스 등이 여기에 속한다. 나머지는 살아서 신으로 추앙받았던 파라오가 죽어서도 신과 같은 존재가 되는 경우였다. 당연히 왕족만이 사후에 신으로 추앙받을 수 있었지만 드물게 능력이 뛰어난 경우에 일반인도 신이 될 수 있었다. 바로 우리가.. 2023. 9. 12.
이집트의 사회 계급 고대 이집트는 나일강 하류와 수에즈 운하 일대에서 번성한 세계 4대 문명 중 하나다. 이집트의 피라미드형 사회 구조에서 신의 환생인 파라오를 제외하고 맨 꼭대기에 최상류층은 귀족과 사제 계급이 있었다. 엄격한 종교 사회였으나 정교분리가 불확실했던 고대 이집트는 파라오 본인이 대신관 직을 맡거나 귀족이 사제와 결혼하여 혈연관계를 맺거나 신관직을 맡는 일이 잦아 결과적으로 같은 계급이라고 보아도 무방했다. 신관은 다시 상위 신관과 하위 신관으로 나뉘었으며 상위 신관은 신상 가까운 곳에서 일할 수 있어서 평민들은 그들을 선지자라고 불렀다. 또한 신의 뜻을 해석하는 자들이 바로 상위 신관들이었기에 그 권위는 막강했다 하위 신관은 신에게 바칠 공물을 제작하거나 신상에 올릴 물을 나르는 등 신관 중 허드렛일하는 직.. 2023. 9. 6.